직 무 / 직무소개
|
필요역량
|
|
---|---|---|
생산 |
제품을 고객이 원하는 시점에, 원하는 품질로, 적정한 비용으로 제조하기 위해 생산 현장을 계획·운영·관리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. 주요 업무로는 생산 계획 수립, 공정 운영 및 관리, 품질 및 납기 관리, 문제 해결 및 개선 활동 등이 있습니다.
|
ㆍ문제 해결 능력: 생산 중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빠른 대응
ㆍ기술 이해력: 기계, 전기, 자동화 등 기술적 지식 ㆍ관리 능력: 인력, 자재, 설비 등 자원 관리 능력 ㆍ협업 및 커뮤니케이션: 타 부서와의 원활한 협업 ㆍ데이터 분석 능력: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|
기술/연구 |
유리, 바닥재, VCM, 라미필름, PHC파일, 자동차용 안전유리 등 KCC 자사 제품의 양산을 위한 공정 설계, 설비 개발, 기술 검증 및 개선 활동을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확보하는 업무입니다.
|
ㆍ논리적 사고력: 문제를 구조적으로 분석하고 해결
ㆍ실험 및 분석 능력: 실험 설계, 결과 해석, 통계 활용 ㆍ기술 문서 작성 능력: 보고서, 특허, 논문 등 작성 ㆍ창의력과 호기심: 새로운 아이디어 탐색 ㆍ협업 능력: 타 부서 및 외부 기관과의 공동 연구 |
공정개발 |
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최적의 제조 공정을 설계하고 개선하여 품질, 생산성, 수율을 극대화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.
|
ㆍ공정 이해력: 제조 흐름과 기술적 요소에 대한 깊은 이해
ㆍ문제 해결 능력: 공정 중 발생하는 이슈에 대한 분석 및 개선 ㆍ데이터 분석 능력: 공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 ㆍ기술 문서 작성 능력: 공정 관련 문서화 및 보고서 작성 ㆍ협업 능력: 다양한 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 및 조율 |
품질 |
제품의 기획부터 생산, 출하까지 전 과정에서 품질을 확보하고 문제를 예방·개선하는 업무입니다. 세부 분야로는 제품 검사 및 불량 분석, 공정 중 품질 점검을 수행하는 QC(Quality Control), 품질 시스템 구축, 인증 관리, 표준화 및 문서화를 관리하는 QA(Quality Assurance), 품질 전략 수립, 품질 개선 활동, 고객 불만 대응 및 품질 혁신을 수행하는 QM(Quality Management)가 있습니다.
|
ㆍ세밀한 관찰력: 작은 결함도 놓치지 않는 집중력
ㆍ분석력: 불량 원인 및 품질 데이터 분석 능력 ㆍ문서화 능력: 검사 결과, 개선 활동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 ㆍ커뮤니케이션 능력: 생산팀, 고객, 협력사와의 원활한 소통 ㆍ품질 기법 이해: ISO, Six Sigma, QC 7가지 도구 등 |
생산관리 |
생산계획 수립부터 공정 운영, 자재·설비·인력 관리, 품질 및 납기 관리까지 생산 전반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직무입니다. 주요 업무로는 생산 계획 수립, 자재 및 재고 관리, 공정 및 설비 운영, 비용 및 예산 관리, 생산 실적 분석 및 보고 등이 있습니다.
|
ㆍ계획 수립 능력: 자원과 일정 조율 능력
ㆍ문제 해결 능력: 현장 이슈에 대한 빠른 대응 ㆍ데이터 분석력: 생산성과 비용 분석 ㆍ커뮤니케이션 능력: 현장 작업자 및 타 부서와의 협업 ㆍ시스템 활용 능력: ERP, MES 등 생산관리 시스템 이해 |